사회주의 대오 규약(안)
전문 우리는 이 땅에서 자본주의를 변혁하고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〇〇〇〇을 창립한다. 바야흐로 인류사회는 ‘사회주의냐 야만이냐’라는 역사적 기로에 놓여있다. 전세계적으로 자본주의는 그 모순이 극심해져 역사적 운명을 다하고 있고, 노동자 민중이 모든 착취와 억압에서 해방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해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가 지향하는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
전문 우리는 이 땅에서 자본주의를 변혁하고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〇〇〇〇을 창립한다. 바야흐로 인류사회는 ‘사회주의냐 야만이냐’라는 역사적 기로에 놓여있다. 전세계적으로 자본주의는 그 모순이 극심해져 역사적 운명을 다하고 있고, 노동자 민중이 모든 착취와 억압에서 해방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해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가 지향하는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는 2020년 9월 6일 구성되어 본조직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본조직 출범을 앞두고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는 발족선언문(초안)을 마련하고 내부 논의를 거쳐 발족선언문(안)을 마련하였다.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는 이 발족선언문(안)을 본조직 출범 전에 토론용으로 제출하고 사회주의 대오 창립 총회에서 발족선언문을 확정할 예정이다.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가 제출하는 발족선언문(안)은 내용과 형식에서 [...]
[Ⅰ] 1. 자본주의와 사회주의혁명 자본주의적 상품생산사회에서 생산수단의 주요한 부분은, 수적으로 소수인 자본가계급과 지주계급이 소유하고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노동자계급은 생산수단의 소유로부터 배제된다. 이러한 경제적 지위 때문에 노동자들은 자신의 노동력을 자본가들에게 판매하여 노동력의 가치인 임금을 받는 대신 그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여야만 자신의 가족과 함께 생존해 갈 수 있으며 이들 잉여가치는 [...]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에서는 작년 10월 10일 주거문제를 주제로 한 첫 선전전을 시작으로, 11월 14일 주거문제 제2차 선전전, 12월 5일 해고 금지와 일자리 확보 요구 제3차 선전전을 진행하였다. 그 사이 16가지 과도적 요구가 마련되어 공개되었고, 올해 2월 6일에는 이 요구를 가지고 ‘현시기의 과도적 요구’ 토론회가 열리기도 했다. 과도적 요구를 중심으로 [...]
세계대공황으로 인하여 일자리 문제가 역대 최악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통계청에서 2월 10일에 발표한 ‘2021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2021년 1월 취업자 수는 작년보다 98만 2천 명이 감소한 2581만 8천 명으로 1998년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 실업률 역시 5.7%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구직단념자는 60만 명이 증가하여 [...]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 주최 4차 선전전 - 주거문제와 일자리문제 선전전 ○ 일시: 3월 6일(토) 오후 12시 ○ 장소: 신림역 2번 출구 인근 버거킹 앞 - 토지를 국유화하라! - 모든 해고금지! - 1가구 1주택 초과 소유분을 몰수하라! -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하라! -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라! - 안정적인 일자리는 사회가 만들면 생기는 것이다! [...]
[일시 및 장소] 2021.2.6.(토) 오후 2시, 공공운수노조 5층 교육장 [발제 및 토론] 주발제자: 성두현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 추진위원장) 보조발제자: 박준규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 추진위원) 토론자: 조태욱 (헬조선변혁추진위원회 연대사업위원) 토론자: 황종원 (청년 사회주의자 모임 회원) 동영상#1 - 주발제문, 보조발제문, 토론문 발제 영상 [주요내용] #00:03:10 [...]
사회주의대오추진위원회는 지난 2월 6일(토) 오후2시 공공운수노조 5층 교육장에서 ‘현시기의 과도적요구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 토론회는 과도적요구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과도적요구를 내건 투쟁의 필요성을 공론화하기 위해 열렸다. 이 날 토론회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인원의 참여가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30명 가까운 참여자들이 모여 토론회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토론회는 김석정 [...]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는 현 정세에서 사회주의 대오를 형성하고 사회주의적 선동과 투쟁을 적극화하는 수단이자 하나의 방편으로 과도적 요구를 제기하고 투쟁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여러 준비를 거쳐 과도적 요구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2020년 12월 29일에 이를 공개하였다. (과도적 요구의 전체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socialistforces.kr/transition-program-by-socialistforces/ 사회주의 대오 추진위원회는 이에 그치지 않고, [...]
이 글은 주거문제특별강좌를 수강한 임 환 동지가 보내주셨습니다. 12월 11일부터 5회에 걸쳐, 사회주의대오추진위원회가 마련한 「주거문제특별강좌」에 참여하였다. 제1강 ‘맑스의 지대론’을 시작으로 제5강 ‘과도적 요구 설명’에 이르기까지 총 5차례의 강의는, 맑스의 지대론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바탕으로, 맑스‧레닌의 저작에 나타난 토지 국유화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 과정, 그리고 1872년 부르주아 논객들과 엥겔스의 [...]